Spring boot - 프리마커(freemaker) 설정
·
STUDY/SPRING
1.build.gradle에 의존성 추가 2.freemaker에서 사용할 설정 내용을 application.properties에 추가 3. index.ftl 파일 생성 (일반 file로 생성) 처음에는 텍스트 파일로 인식됨 jsp처럼 사용하기 위해 Eclipse Marketplace에서 jsp로 검색후 Eclipse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 Tools 다운로드 sts 재시작 후 window > Preferences > file associations 검색 file types 에서 add > .ftl 추가 associated editors 에서 add > jsp Editor > apply and close window > Preferences > content types..
Spring Boot 기본 구조
·
STUDY/SPRING
- 처음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시 구조 1. src/main/java 2. src/main/resources 3. build.gradle 1. DemoApplication.java - 기본 main() 메서드 -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 이 어노테이션은 세가지 어노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EnableAutoConfiguration : Bean을 등록하는 자바설정파일 @ComponentScan : @Component을 가진 Bean을 스캔, 등록 @Configuration : java기반의 설정파일로 인식됨 으로 구성되어 있다. 2. src/main/resources 2-1. templates : 스프링 버전이 올라가면서 jsp대신 thymeleaf로 view엔진이 변경되었..
의존성 주입(DI)
·
STUDY/SPRING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 스프링의 특징 중 하나로 제어의 역행이 발생할 때 스프링 내부에 있는 객체(Bean)을 관리하는 기법 * 제어의 역행 : (IoC : Inversion Of Control) : 메서드나 객체의 호출을 개발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결정되는 것. 즉 제어권을 개발자가 아닌 제 3자가 가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 느슨한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 * 의존성 : 클래스나 개체간 관계를 말하며 의존성이 높을 수록 객체가 혼자서 처리할 수 없고 다른 객체를 통해서 도움을 받아야만 처리가 가능하다. >> 한 클래스가 바뀔 때 다른 클래스가 영향을 많이 받는다. => 결국 DI는 의존 관계에 있는 객체를 직접 생성하고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의 역..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 4(로그인 완료)
·
STUDY/SPRING
이전 포스팅 : https://3unbbb.tistory.com/106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3 이전 포스팅 : 카카오랑 연결 https://3unbbb.tistory.com/105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2 이전 포스트에서 카카오 로그인 API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 & 전체적인 흐름을 봤다. https://3unbbb.tistory.co.. 3unbbb.tistory.com 이제 가져온 토큰으로 사용자 정보를 가져와야 함 전체정보를 가져올 거니까 GET방식으로 부르기 & 요청 헤더 확인하기(access_token) 앞에 access_token은 받을 때 사용했던 방법이랑 비슷 (outputStream이아닌 inputStream 사용) public void getUserInfo(S..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 3
·
STUDY/SPRING
이전 포스팅 : 카카오랑 연결 https://3unbbb.tistory.com/105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2 이전 포스트에서 카카오 로그인 API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 & 전체적인 흐름을 봤다. https://3unbbb.tistory.com/104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1 팀프로젝트에서 해보고 싶었던 sns 로그인 api 포트 3unbbb.tistory.com 발급받은 코드로 토큰을 받아야 하는데 위 형식에 맞게 코드를 작성해주면 됨(required 필수) 요청은 service에서 httpURLConnection으로 처리 OauthService.java public String getAccessToken(String code) throws IOException { Syste..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2
·
STUDY/SPRING
이전 포스트에서 카카오 로그인 API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 & 전체적인 흐름을 봤다. https://3unbbb.tistory.com/104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1 팀프로젝트에서 해보고 싶었던 sns 로그인 api 포트폴리오랑 자소서가 대강 틀이 잡혀가니까 미뤄뒀던 소셜로그인 공부하기! 1. 우선 카카오 디벨로퍼에서 내 어플리케이션에 추가, 플랫폼에 도 3unbbb.tistory.com 이제 카카오에서 알려준대로 하나하나 따라가면 된다. Step1 카카오 로그인 1. 카카오 로그인 버튼 생성 평소에 자주보던 카카오 로그인 버튼은 아래로 가면 디자인소스를 다운받을 수 있다.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js Kakao ..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1
·
STUDY/SPRING
팀프로젝트에서 해보고 싶었던 sns 로그인 api 포트폴리오랑 자소서가 대강 틀이 잡혀가니까 미뤄뒀던 소셜로그인 공부하기! 1. 우선 카카오 디벨로퍼에서 내 어플리케이션에 추가, 플랫폼에 도메인 추가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려면 redirectURI를 등록해야 한다. 2. RedirectURI등록 후 위쪽의 활성화 설정을 ON으로 변경 (카카오 로그인 API를 통해 간편 회원가입까지 가능) 3. 왼쪽 메뉴의 동의항목 > 간편 회원가입을 할 때 카카오쪽에서 가져올 정보를 선택할 수 있음 항목별로 좌측의 설정을 누르면 설정 가능(이용목적은 그냥 서비스 이용이라고 작성함) 4. 기본 설정은 끝났으니 이제 Docs 보기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
ERROR: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 - Context initialization failed
·
STUDY/SPRING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sqlSessionFactory' defined in ServletContext resource [/WEB-INF/spring/root-context.xml]: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core.NestedIOException: Failed to parse mapping resource: 'file [C:\Users\Eunb\TeamProject\.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0\w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