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시 구조
1. src/main/java
2. src/main/resources
3. build.gradle
1. DemoApplication.java
- 기본 main() 메서드
-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
이 어노테이션은 세가지 어노테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EnableAutoConfiguration : Bean을 등록하는 자바설정파일
@ComponentScan : @Component을 가진 Bean을 스캔, 등록
@Configuration : java기반의 설정파일로 인식됨
으로 구성되어 있다.
2. src/main/resources
2-1. templates : 스프링 버전이 올라가면서 jsp대신 thymeleaf로 view엔진이 변경되었는데, 이 thymeleaf 파일을 두는곳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freemaker를 사용할 거라서 ftl파일이 저장되는 곳.
2-2. static : content를 두는 곳(보통 css나 js파일)
3. build.gradle
3-1. 원래 사용하던 Maven 대신에 그레이들을 사용할예정
3-2.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추가
* 스프링부트는 개발에 필요한 일부 설정들이 기본으로 처리가 되어 있는데 tomcat 서버 또한 내장하고 있음.
>> WAS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Java Build Path 등 설정을 신경쓰지 않아도 됨.
'STUD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 프리마커(freemaker) 설정 (0) | 2023.07.06 |
---|---|
의존성 주입(DI) (0) | 2022.10.28 |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 4(로그인 완료) (0) | 2022.08.18 |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 3 (0) | 2022.08.18 |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2 (1)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