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프로젝트에서 해보고 싶었던 sns 로그인 api
포트폴리오랑 자소서가 대강 틀이 잡혀가니까 미뤄뒀던 소셜로그인 공부하기!
1. 우선 카카오 디벨로퍼에서 내 어플리케이션에 추가, 플랫폼에 도메인 추가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려면 redirectURI를 등록해야 한다.

2. RedirectURI등록 후 위쪽의 활성화 설정을 ON으로 변경 (카카오 로그인 API를 통해 간편 회원가입까지 가능)

3. 왼쪽 메뉴의 동의항목 > 간편 회원가입을 할 때 카카오쪽에서 가져올 정보를 선택할 수 있음
항목별로 좌측의 설정을 누르면 설정 가능(이용목적은 그냥 서비스 이용이라고 작성함)

4. 기본 설정은 끝났으니 이제 Docs 보기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common
Kakao Developers
카카오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세요. 카카오 로그인, 메시지 보내기, 친구 API, 인공지능 API 등을 제공합니다.
developers.kakao.com
5.문서 이해하기

문서에 쓰여져 있는 대로 서비스에서 id와 비밀번호를 검증하지 않고 카카오 쪽으로 넘겨서 인증이 진행된다.

카카오 로그인이 완료되면 토큰이 발급되는데 이 토큰에 내 서비스의 권한을 저장할 수 있다는 말인 것 같다.
실제 상용서비스에서는 사용자 이용약관 동의와 카카오톡 채널 추가를 대부분 사용하는데 이건 비즈니스 솔루션이므로 지금은 그냥 로그인까지만..
카카오 로그인으로 가입한 회원의 정보나 그 회원의 탈퇴는 내 DB안에서 해결해야 한다.
7. 전체 흐름

'STUDY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 3 (0) | 2022.08.18 |
---|---|
카카오 로그인 API 사용하기 -2 (1) | 2022.08.16 |
ERROR: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 - Context initialization failed (0) | 2022.07.01 |
Error : SEVERE: 자식 컨테이너를 시작 중 실패했습니다. (0) | 2022.07.01 |
ERROR : org.springframework.web.util.NestedServletException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