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기본 자료 구조
List > 순서 o [ ]
Set > 순서 x [ ] ( )
Map == Dictionary { }
1. Set 컬렉션 인터페이스
집합의 개념 / 인덱스 정보 포함 x => 원소 중 특정 위치 값을 꺼낼 수 x
(똑같은 값을 불러올 수 없음 = 중복저장 불가 / null값도 한 개만 포함 가능)
저장되는 순서에 상관없이 저장됨(저장순서 파악 안됨)
저장된 순서와 출력 순서는 다를 수 o
get()메서드 제공 x
2. Set 컬렉션 인터페이스 method
* 배열 전환 <- 순서가 빠르니까 전환해주는게 좋음
3. HashSet
순서가 x → 데이터 구별할 index가 없고, 중복이 허용 x
효율적인 중복 데이터 제거 수단
h(값) --> 유일한 값
"aaa" --> 15 (숫자로서의 의미는 없어지고 유일한 값이 됨)
"bbb" --> 37
-----------------
"aaa" --> 15
자바에서 해쉬코드는 객체가 저장된 번지와 연관된 값(실제 번지와는 다름)
값이 같은지만 확인 가능함 (그 값이 뭔지는 확인x) -- 암호화
해시함수는 하나의 주어진 출력에 대하여
이 출력으로 사상시키는 하나의 입력을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불가능&
하나의 주어진 입력에 대해 같은 출력으로 사상시키는 또 다른 입력을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불가능
=> 두가지 성질을 만족하면서 임의의 비트열을 고정된 길이의 비트열로 사상시키는 함수
EX)
중복 데이터 제거
(HashSet에 넣었다 빼면 중복 데이터 제거됨)
정렬됨 → 저장되는 순서에 상관없이 저장됨(저장순서 파악 안됨)
저장된 순서와 출력 순서는 다를 수 o
반응형
'STUDY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Override(메소드 재정의) (0) | 2022.05.11 |
---|---|
JAVA - 상속(Inheritance) (0) | 2022.05.11 |
JAVA - Stack클래스 (0) | 2022.05.02 |
JAVA - Queue 컬렉션 인터페이스 (0) | 2022.05.02 |
JAVA - linkedList & ArrayList 컬렉션 클래스 (0) | 2022.05.02 |